가축분뇨 및 축산환경 관련 연구 현황 및 농가 당부사항
작성자 한국썸벧(주)

월간한돈 9월호 특집에 실린 내용이며, 김중곤연구사의 "가축분뇨 및 축산환경 관련 연구 현황 및 농가 당부사항"에 대해 공유합니다. 

필자는 서론으로 "2020년 기준 농림업 생산액 52조1천5백억원 중 축산업은 20조3천5백7십억원으로 40.4%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림업생산액 가운데 축산물이 차지하는 품목은 상위 10대 품목 중 5개 품목(돼지, 한우, 우유, 닭, 계란)을 차지하고 있어 축산업이 농림업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해마다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산업은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구 감소, 해외시장 개방으로 인한 경쟁심화, 잦은 가축질병의 발생, 가축분뇨 및 축산냄새와 같은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산업 여건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축분뇨의 처리문제는 축산분야의 큰 근심거리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축분뇨 및 축산환경 관련 연구현황과 양돈 분뇨처리를 위한 양돈분뇨 퇴비화 및 액비화와 관련된 주요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로 시작합니다.

축산환경현황

가축분뇨 및 축산환경 관련 연구 현황

 - 가축분뇨처리, 축산악취 저감

가축분뇨 및 축산환경 관련 최근 연구 동향

- 가축분뇨처리, 축산악취 저감 

양돈농가 가축분뇨 처리를 위한 퇴.액비화 주용 사항

필자는 끝으로 "농업분야에서 축산업의 위상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나, 축산업의 방향이 생산성 향상에 대해 너무 집중되어 있고, 주변 환경관리에 대한 그간의 소홀함이 이제 축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과거의 부적절한 가축분뇨의 관리와 처리에 대한 불신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올바른 가축분뇨 처리를 통한 가축분뇨 퇴·액비의 부숙도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필요가 있으며, 잘 부숙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경종농가에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고 부산물을 축산농가에서 다시 이용하는 경축순환농업을 활성화 시키는 노력들은 앞으로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축산농가에서는 양질의 퇴·액비를 만들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가축분뇨 퇴·액비화 주요 사항들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드리며, 가축분뇨 퇴·액비의 부숙도 관리를 통한 가축분뇨 관리를 시작으로 경축순환농업이 활성화 되어 축산과 경종이 함께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