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콕시듐증의 유병률 및 항콕시듐제 내성 연구
작성자 한국썸벧(주)

월간닭고기 8월호에 소개된 민원기교수의 "국내 콕시듐증의 유병률 및 항콕시듐제 내성 연구"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필자는 "닭 콕시듐증은 닭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볼 수 있는 원충성 질병이다. 콕시듐 원충은 닭의 소화기관에 기생하면서 장상피세포를 파괴한다. 닭의 장상피세포가 파괴되는 현상을 우리는 설사, 사료효율 감소, 증체율 감소 및 폐사 등의 임상 증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국가과제로서 수행한 국내 콕시듐증의 유병률 및 항콕시듐제 내성에 관한 최신 연구를 소개하겠다."

1. 2008~2009년의 국내 콕시듐 유병률

2. 2008~2009년의 분변 내 존재하는 콕시듐 균주 종류

3. 2019년~2021년 조사 분석

4. 2008~2009년 vs 2019년~2021년의 연구 결과 요약

5. 항콕시듐제에 대한 내성 분석

본고에서 끝으로 "10년 간격을 두고 두 번의 국내 콕시듐증 유병률 및 항콕시듐제 내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콕시듐증 유병률은 76~78% 정도로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콕시듐증을 관리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인 항콕시듐제의 내성도 높은 수준임이 틀림없다. 점점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고려할 때, 양계산업에서 항콕시듐제의 높은 내성은 업계관계자 모두가 힘을 모아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