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소장의 사양관리 Q&A
작성자 한국썸벧(주)

월간닭고기 12월호 게재된 김대호소장의 "사양관리 Q&A"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본고에서 필자는 "육계 사육 중 특정 시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농장이 있다. 계절적으로 사육이 어렵다는 여름철이나 겨울철 사육은 양호한데 환절기만 되면 사육 후반부에 호흡기 질병으로 고생하는 농장이있는가 하면 입추하고 나서 최초 10일간 약추 도태가 기본 4~5%가 되는 농장도 있다. 농장 사육관리 스타일로 넘기기에는 개선의 여지가 상당히 많다. 입추를 하고 중간에 세미 중량에서 솎기 작업을 하는 농가 가운데 어떤 농가는 솎기 작업 이후에 1일 증체량이 100g 이상 성장하는 농장이 있는 반면 어느 농장은 호흡기 질환과 장염 등으로 출하 때까지 고생하는 농장도 있다.

이들 농장의 공통점을 보면 대체적으로 사육일지 등의 기록관리가 매우 허술하다. “기록은 기억을 압도한다.” 사육일지에 모든 정보를 꼼꼼하게 기록하고 출하가 완료되면 그 데이터를 분석한다. 같은 시기(계절, 일령, 시간), 같은 문제들(질병, 기구, 사육)이 발생한다면 개선을 위한 데이터가 필요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보고 그 장·단점을 기록해야 한다.“현재는 분석이고 미래는 해석이다.” 필자가 관리하는 농가 중에 10여년 이상 한강식품과 꾸준히 거래하고 계시는 농가들의 지난 2~3년간 성적을 가지고 개선해야 할 점들, 보완해야 할 점들을 살펴보고 성적이 개선된 사례를 3회에 걸쳐서 소개하고자 한다."고 서두에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농장 사육관리 분석과 개선

1. 출하체중, 중량 적중의 중요성

2. 농장 25일령 평체와 출하 중량 적중률

3. 원인분석

4. 중량 측정도구 점검(닭 몰이 망)

5. 농가 관리 방안과 개선

6. 중량 측정 결과 분석

위 내용에 대한 자세한 부분은 첨부파일을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